백제시대의 대표적인 절터, ‘정림사지’로 불리게 된 것은 1942년 일본인들에 의해 조사된 이 절터에서 ‘태평팔년무진정림사대장당초’라고 쓰인 기와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기와조각에 새겨진 태평 8년은 고려 현종 19년(1028)으로 백제 멸망 후에도 오랫동안 절이 존속했음을 말해준다. 백제가 웅진에서 사비로 도읍을 옮기면서 왕궁, 관청, 주거지 등이 건설되었는데, 이 즈음인 6세기 쯤에 절도 함께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림사지 배치는 중문, 탑, 금당, 강당이 남북 일직선상에 놓인 장방형의 1탑 1금당식으로 백제가람의 전형을 보여준다. 안에는 백제시대 건립된 오층석탑(국보 제9호)과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불좌상(보물 제108호)이 있다
ㅇ 사진 올려요
- 정림사지 박물관 안내도
- 정림사지 설명판
- 박물관 입구
- 박물관 내부
- 가람 배치
- 정림사지, 반송 바로 전에 연못이 있고 공터와 국보 제9호인 정립사지 5층석탑 그리고 강당이 있다, 강강 건물의 특징 하나뿐인 하앙식 구조가 보인다.
어디가도 삼국시대에는 주심포식 맛배지붕 또는 민자지붕, 조선시대에 이르러 다포식 팔작지붕 이라 하는데 말이다.
- 넘 친한 기대는 2세들 은채, 준형, 주희
- 부여 정립사지5층 석탑(국보 제 9호), 모서리의 배흘림 기둥이 보인다
- 불상이란 ?
- 석탑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
- 석탑의 구조, 크게 3단계로 구분하면 기단부, 탑시부, 상륜부
'Theme > Museum(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린걸스 공연은 12시 이후부터, 오션, 마린라이프와 아쿠아포리스트가 아쿠아리움에 (0) | 2013.03.05 |
---|---|
백제의 궁궐인 사비궁과 능산리사지의 능사, 생활문화마을인 위례성을 재현한 백제문화단지 (0) | 2012.10.27 |
능산리 백제 왕가의 무덤군과 부여 국립박물관 (0) | 2012.10.27 |
망국의 한이 서린 부소산성인데 백제의 역사속으로 여행떠나기, 어려운데 올바로 알자는게 의도인가요 (0) | 2012.10.27 |
여수엑스포 (0) | 2012.09.16 |